Temporalizing Temporality: Peter Buggenhout & Marie Cloquet
Temporalizing does not mean a 'succession' of the ecstasies. The future is not later than the having-been, and the having-been is not earlier than the present. Temporality temporalizes itself as a future that makes present, in the process of having- been.
-Martin Heidegger, Being and Time
Jason Haam is pleased to present Temporalizing Temporality a two-person exhibition by Peter Buggenhout and Marie Cloquet. The show will open on November 8th, 2018 and remain on view through January 14th, 2019. This will be the artists’ first exhibition in Seoul, South Korea.
The title of the exhibition comes from Martin Heidegger’s concept of temporality in Being and Time, in which time is not constituted as a linear succession. Featuring a selection of sculptures and collages,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co-existence of time—the past, present, and future—within memory and questions the state of existence within an inconceivable reality.
Memories present themselves as fragmented preservations of time, but they also function as caches for the possibilities of a future (such as recalling a moment of prospective desire). It is in this way that within memory, the linear succession of time is negated an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within the same existential space.
Buggenhout creates sculptures comprised of abject materials such as dust and cow innards. Covered with a layer of dust, ‘The Blind Leading the Blind’ is a work series first experimented with in the 2000s. The settled dust over its complex structures resembles a lost artifact that has found its way into the present, making it difficult to place these works within the context of time. Thus, without a sense of temporal reference, Buggenhout’s works function as autonomous beings that exist beyond the constructs of linear time.
Buggenhout’s works are analogies for the way in which memory functions. Memories are moments of the past stored within the brain. Yet, the act of recalling memories requires the past to concurrently materialize within the present. In the same way, Buggenhout’s sculptures are objects of the present that appear as objects of the past. This materialization of the past within the physicality of the present negates the structure of linear time and allows viewers to simultaneously experience both a past and present—temporalizing temporality.
Cloquet photographs places of the world, which she then projects onto a wall and manually stretches and manipulates the image. After she prints these constructed images onto light-sensitive photographic paper, Cloquet often enhances her images with touches of watercolor. Similar to the way in which Russian director Andrei Tarkovsky films, Cloquet reconstructs images by way of physically deconstructing linear time, of chronology—constructing fragmented scenes of the present within the past.
The physical body of her works exists within reality, but the reconstructed image of her works exists within a new spatial dimension—a recreation of the past within an inconceivable reality, within the memory of a possible future that does not yet and never will exist. Utilizing an analogue technique of process, Cloquet adjusts a sequential abstract notion of order, as per Andrei Tarkovsky and presents a tangible occurrence of Heidegger’s concept of temporality.
Buggenhout and Cloquet create works that are wholly complete and unified within themselves. Although their existence is dependent on physicality, they do not exist within the linear succession of time. Their works exist simultaneously as tangible objects within reality and imperceptible objects within memory. Martin Heidegger describes a sense of space:
But “nowhere” does not mean nothing; rather, region in general lies therein… Therefore, what is threatening cannot come closer from a definite direction within nearness; it is already “there”—and yet nowhere. It is so near that it is oppressive and takes one’s breath—and yet it is nowhere.
제이슨함은 Temporalizing Temporality 라는 제목 아래 Peter Buggenhout과 Marie Cloquet의 2인전을 선보인다. 전시의 제목은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존재와 시간(Being and Time)>에 등장하는 ‘시간성(temporality)’ 개념에서 연유한다.
시간성은 당연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화(temporalize)’하는 것이며 우리에게 익숙한 선형적 연속으로의 시간 개념이 아니라, 과거-현재-미래의 범주를 넘어 도래-기재-현전의 근원적 시간 속에 우리 존재가 놓여있음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간성은 두 작가의 작품 전반에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구축, 해체, 그리고 재-구축의 작업 과정을 거치며 작품은 새로운 시간성, 새로이 창출된 시공간 안에 위치한다. 조각부터 콜라주까지, 본 전시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아우르며 시간과 공간을 직조하는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오롯이 조망한다.
Buggenhout의 조각은 일련의 역설 사이에 자리한다. 작품은 무언가의 재현이라고 하기에는 추상적이며, 추상이라고 하기에는 실체이고, 개별적이라고 하기에는 서로 닮아있으며, 통일적이지 않은 서로 다른 개체가 된다. 작가가 드러내는 것은 결여의 미학으로, 상징주의와 보편의 시공간 개념과 무관하다. Buggenhout는 재료를 융합하고 구축하는 한편 해체하고 다시 축적하여 이를 새로운 시간성과 공간의 맥락에 놓는다. 선형적 시간의 구조를 뛰어넘는 독자적인 개체로서 작업의 의미와 정체성은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새로운 시공간, 새로운 조형 언어를 통해 작품은 개념과 이데올로기 자체를 현전한다.
한편 Cloquet가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방식은 러시아 영화감독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Tarkovsky)의 선형적 시간 순서를 해체함으로써 장면을 구성하는 제작 방식과 닮아있다. 작가가 포착한 세계화의 주변부, 소외의 실제 공간은 일차적으로 사진의 형태로 담긴다. 이후 왜곡된 인쇄와 찢기, 파편화 등의 물리적 해체 과정을 지나, 콜라주로 재배열되어 완전히 새로운 시공간을 만들어낸다. Cloquet가 담은 과거의 장면은 분절되어 현재 안에서 재구축되며, 이처럼 재구축된 이미지로서의 작업은 선형적 시간 구조를 넘어선 새로운 시간성과 공간 안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자연스러운 풍경처럼 보이는 Cloquet의 왜곡되고 조작된 화면은 세계화의 명암에 대한 염려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작가는 이처럼 실제와 가상 사이, 개발과 소외 사이, 그리고 역사의 틈 사이 어딘가에 놓인, 경계의 균열같은 영리한 공간들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낸다.
Buggenhout와 Cloquet는 구축-해체-재구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그 자체로 완전하고 통일된 작업을 구현한다. 물리적인 결과로서 작품은 선형적 시간을 탈피하고 시간화하는 근원적 시간성과 새로운 공간에 자리한다. 이는 관람자로 하여금 새로운 시간과 공간 안에서 두 작가가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 구조와 현대 사회의 소외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체험하게 한다. 본 전시는 기존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관념을 자유롭게 모색하며 그 안에서 우리 존재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흥미로운 유영의 경험이 될 것이다.
-
낯선 시공간 속으로... 피터 부겐후트·마리 클로케 2인展
윤 다함, ART CHOSUN, December 6, 2018 -
시간성: Temporalizing Temporality
THE SEOULive, December 1, 2018 This link opens in a new tab. -
Temporalizing Temporality 전
PUBLIC ART, December 1, 2018 This link opens in a new tab. -
선형을 벗어난 시간
한 지희, Art In Culture, December 1, 2018 This link opens in a new tab. -
<아트&아트인> '조각과 회화의 만남'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
장 지선, 일요시사, November 19, 2018 -
갤러리 제이슨함, 피터 부겐후트·마리 클로케 작가 2인전 개최
MBN 뉴스, November 16, 2018 -
새롭게 창조된 시공간을 만나다...피터 부겐후트&마리 클로케 2인전
김 희원, 세계일보, November 10, 2018 -
[미술전시]제이슨함 시간성·피비갤러리 이동기·메이스페이스 김용호
박 현주, 뉴시스, November 9, 2018 -
성북동 갤러리 제이슨함 '시간성: Temporalizing Temporality' 2인展 개최
김 영철, 디자인정글, November 8, 2018